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활용 현안 해결 온라인 플랫폼 - 소개

About

디지털 사회혁신(Digital Social Innovation)이란 정부 중심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시민참여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해결하고,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지속 가능한 디지털 사회혁신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지자체, 학교, 기업, 시민사회 등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활발한 디지털 사회혁신 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Aims

우리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민생현안, 사회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사회통합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합니다.

우리는 정부-기업-전문가와 우리 사회 구성원이 함께 참여하여 민관협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디지털 사회혁신 생태계를 조성합니다.

Project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일상생활 및 지역 현안 등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다양한 문제들을 사회 구성원과 함께 풀어가는 디지털 사회혁신 프로젝트, 'ICT를 통한 착한상상 프로젝트'를 2015년부터 수행해오고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디지털 사회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 디지털 사회혁신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을 지원하는 ‘디지털 사회혁신 지원센터’를 2020년부터 구축,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또, 2022년부터, '디지털 활용 현안 해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DIGITAL SOCIAL INNOVATION COMMUNITY

디지털 사회혁신 활동을 이끌어 나가는
'디지털 사회혁신 멘토단'과 '디지털 포용 포럼 DSI분과 위원'입니다.

디지털 사회혁신 멘토단

지자체, 공공기관, 기업 등 다양한 디지털 사회혁신 활동가들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분야별 전문가들이 디지털 사회혁신 멘토단으로 활동 중입니다. 사회혁신, 디지털 기술 활용 역량, 법·제도 등 활동가들이 원하는 분야별, 맞춤형 멘토링을 통해 디지털 사회혁신 활동의 효과성을 높이고, 성과를 확산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김석경
(사)비영리IT지원센터
이사장
민경배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박지환
법률사무소 혜윰
변호사
변미리
서울연구원 도시외교연구센터
센터장
송혜경
지제소프트
대표
신수정
송파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센터장
신원
동명대학교 정보보호학과
교수
신하영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정책연구본부
연구위원
이승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사회혁신정책센터
센터장
이호웅
호서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교수
임정근
경희사이버대학교 NGO사회혁신학과
교수
정용규
을지대학교 의료IT학과
교수
조희정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SSK 연구팀
전임연구원
천영환
퓨처스리빙랩
대표
최혜정
코너스톤포굿
대표

디지털 포용포럼 DSI분과 위원

지속 가능한 디지털 사회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아젠다를 발굴 및 제안하는 산·학·연·관 전문가 협력 네트워크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활동 중입니다. 디지털 사회혁신의 저변확대를 위한 정책 발굴, 디지털 사회혁신의 대표 모델 발굴 및 생태계 조성방안 마련 등을 위한 정책 아젠다를 제시합니다.

권오현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대표
김석경
(사)비영리IT지원센터
이사장
김성진
서울디지털재단
연구협력실장
김연주
㈜슬로워크
이사
민경배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박희정
걸스인텍
지부장
변미리
서울연구원
센터장
손영연
GIA HR
대표
송위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신혜선
이로운넷
편집국장
이병덕
코리아스픽스㈜
대표이사
이수빈
서대문50플러스센터
센터장
이준호
SK텔레콤
SV추진그룹장
이호영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이효은
슈퍼브에이아이
컨텐츠 팀장
임정근
경희사이버대학교 NGO사회혁신학과
교수
전창대
더픽트
대표
전해청
법무법인 남산
변호사
천영환
퓨쳐스리빙랩
대표
최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단장
최정묵
지방자치데이터연구소
대표

ICT를 통한 착한상상 프로젝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일상생활 및 지역 현안 등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다양한 문제들을 사회 구성원과 함께 풀어가는 디지털 사회혁신 프로젝트입니다.

2015년부터 시작된 ICT 착한상상은 국민참여 과제를 발굴하여 디지털 사회혁신 인식확산에 기여해 왔습니다.

“시민의 관심과 참여를 끌어냅니다.”

지자체·학교·민간기업·시민사회 등과의 적극적 협력을 바탕으로 중앙정부가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를 지역과 시민 주도로 해결하고, 시민이 문제해결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독려합니다.

“우리 곁에 있는 취약계층을 지원합니다.”

고령화, 양극화, 소득격차 심화 등에 따라 취약계층이 직면하는 민생현안은 이전보다 더 다양해졌고, 취약계층이 ICT의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지역
연계
지속가능한 디지털 사회혁신 프로젝트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인력, 공간, 자원 등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지역 내 성과를 확산할 수 있도록 지자체,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합니다.
 
적정
기술
디지털 사회혁신의 핵심 요소는 ‘적정기술’입니다. 반드시 첨단기술이 아니더라도 해당 지역에 가장 적합한 기술을 활용하여 지역 내에서의 활성화를 도모합니다.
※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 : 기술이 사용되는 공동체의 정치·문화·환경적 조건을 고려해 해당 지역에서 지속적인 생산과 소비가 가능하도록 만든 기술

디지털 사회혁신 지원센터

지역의 대표 추진 정책·의제 등과 연계된 디지털 사회혁신 프로젝트 과제를 선정하고
지역 내 기관(기관, 지자체, 기업, 대학 등), 시민(DSI 전문인력 양성 교육 수료생 등)이 함께 지역을 대표하는 DSI 프로젝트를 선정, 추진합니다.

DSI 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
디지털 사회혁신 확산을 위해, 참여자 교류활동 지원, 자원 연계, 과제 추진과정을 지원·관리하는 지역 거점을 구축합니다.
지역 기관이 함께하는 DSI 거버넌스 구축의 중심이 됩니다. (*기존 메이커 스페이스 공간 등을 함께 사용하여 구축합니다.)
디지털 사회혁신
전문인력 양성
디지털 사회혁신을 추진하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을 수행합니다.
DSI에 활용할 수 있는 적정 ICT 기술을 교육하는 기술전문가 교육,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실제 서비스화하는 역량을 교육하는 '사회혁신 리더' 교육 등을 시행합니다.
DSI 인식 확산
(시민참여행사)
디지털 사회혁신에 대한 시민인식 제고 활동을 추진합니다.
DSI 역량강화 교육 수료생을 포함, 관심있는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디지털 사회혁신 프로젝트 해커톤', 'DSI JAM', '컨퍼런스' 등 지역 특색·자원을 고려해 다양한 형태의 캠페인을 추진합니다.
지역 대표 DSI
프로젝트 수행
지역의 대표 추진 정책·의제 등과 연계된 디지털 사회혁신 프로젝트 과제를 선정하고
지역 내 기관(기관, 지자체, 기업, 대학 등), 시민(DSI 전문인력 양성 교육 수료생 등)이 함께 지역을 대표하는 DSI 프로젝트를 선정, 추진합니다.

DSI 생태계
구축

Partners

2015년, 디지털 사회혁신을 추진해온 이래, 파트너십을 유지해오고 있는 기관들입니다.

2022

다인테크
LBSTech
성동구스마트포용도시
경상북도콘텐츠진흥원
우경정보기술

2021

연세대산학협력단
사회적협동조합빠띠
서울도서관
전라북도경제통상진흥원
전북대산학협력단
전북테크노파크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전주시사회혁신센터
팀인터페이스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시흥시청
경북ICT융합산업진흥협회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경상북도문화관광공사
디지털알엑스솔루션
에이블런
배화여자대학교
종로구청
종로노인종합복지관
경상북도콘텐츠진흥원
우경정보기술
선도소프트

2020

ICT기업사회적협동조합
광주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
배화여자대학교
양주시장애인종합복지관
양주시청
엔유비즈
여기오늘
종로구청
종로노인종합복지관
춘천교육대학교
펜타유니버스
서울도서관
커먼즈필드
전북VRAR제작거점센터
선도소프트

2019

CJ헬로
나우테스테크놀로지
양주시
양주시장애인종합복지관
전남대학교
주식회사더킹핀
한국IT개발자협동조합
한국IT전문강사협동조합

2018

likelion
가민정보시스템
광주광역시북구
구로구
무의
서울특별시 50플러스재단
실버넷tv
주식회사 유퍼스트
한국벤처농업대학

2017

고성군
광산구
구로구
나래ICT
하나로마트
스마트로
사회적협동조합
엔유비즈
전주비전대학교
전주시
청주시
포항시
한동대학교

2016

강원정보문화진흥원
서울특별시
아이브스테크놀로지
안산시
양산시
오픈메이트
주식회사SCT
진천군
춘천시
카이아이

2015

kweather
netimpact
농사펀드
만드로
비영리IT지원센터
아이티앤베이직
오마이컴퍼니
충남사회경제네트워크
한국데이타하우스
한국도서관협회
한국액션러닝협회
한림대학교한강성심병원

맨위로